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0%
반응형
야구의 마무리 투수가 쌓아나가는 중요한 기록 중 하나는 뭐니뭐니해도 세이브(Save)입니다. 하지만 실제 세이브가 성립되는 조건은 꽤나 복잡합니다. 오늘은 세이브가 무엇인지, 공식 규정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다양한 상황별 예시를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세이브 기본 규정
세이브는 경기 막바지에 팀의 리드를 지키고 끝까지 승리를 완성한 마무리 투수의 기록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마지막에 등판했다고 모두 세이브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공식적으로 세이브가 성립하려면 다음 조건이 필요합니다.
| 조건 구분 | 세부 내용 | 비고 |
| 승리투수 여부 | 세이브는 승리투수가 될 수 없음 | 승리투수와 세이브는 동시에 기록 불가 |
| 등판 상황 | 팀이 이기고 있는 상태에서 등판해야 함 | 동점·패전 상황에서는 성립 불가 |
| 투구 이닝 | 최소 ⅓이닝(한 아웃) 이상 기록 | 아웃 카운트 없이 교체 시 세이브 불가 |
| 세이브 인정 조건 | 아래 3가지 중 하나 충족 시 성립 | |
| 조건 ① | 3점 이하 리드 상황에서 등판해 경기 종료 | 가장 전형적인 세이브 상황 |
| 조건 ② | 동점 주자가 루상에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 경기 종료 | 점수 차가 4점 이상이어도 가능 |
| 조건 ③ | 3이닝 이상 연속 투구로 경기 마무리 | 점수 차와 관계없이 세이브 인정 |
정리
- 무조건 "마지막 투수"가 아니라, 상황 + 아웃 카운트 + 리드 조건을 충족해야 세이브가 기록됩니다.
- 특히 3점 초과 리드라도 동점 주자가 있는지 여부가 중요한 체크포인트입니다.

3점 차 이상 + 주자 있는 상황
여기서 중요한 건 “동점 주자가 있느냐”입니다.
- 동점 주자란: 현재 점수 차만큼 루상에 나가 있는 주자를 의미합니다.
- 4점 차 리드에서 만루 → 홈런을 맞으면 동점 → 세이브 상황 인정
- 4점 차 리드에서 1루 주자만 있음 → 홈런을 맞아도 2점 차 → 동점 불가 → 세이브 불가
즉, 점수 차가 4점 이상이라도 루상 상황에 따라 세이브 기회가 됩니다.

상황별 세이브 예시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 상황 | 세이브 성립 여부 | 이유 |
| 9회 초, 3점 차 리드, 마무리 투수 등판 후 무실점 마무리 | ○ | 가장 전형적인 세이브 상황 |
| 9회 초, 4점 차 리드, 무사 만루 상황에서 등판해 무실점으로 마무리 | ○ | 점수 차는 크지만 동점 주자가 있었으므로 세이브 성립 |
| 9회 초, 4점 차 리드, 주자 없음에서 등판 후 무실점 | ✕ | 점수 차가 3점 초과, 세이브 불가 |
| 7회 초 등판, 3이닝 무실점으로 경기 마무리 | ○ | 3이닝 이상 던져도 세이브 인정 |
| 9회 초 등판, 3점 차 리드 상황이었으나 한 점 내주고도 승리 지킴 | ○ | 점수 차는 유지되었으므로 세이브 인정 |
| 9회 초 등판, 동점 상황에서 팀이 역전에 성공 후 경기 마무리 | ✕ | 동점 혹은 역전 상황은 세이브 성립 불가 |
이처럼 세이브는 점수 차, 주자의 상황, 투구 이닝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세이브가 중요한 이유
세이브는 단순한 숫자 기록이 아니라, 팀의 승리를 지킨 투수의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특히 클로저(Closer, 마무리 투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핵심 요소로 사용됩니다.
- 마무리 투수의 안정감
- 위기 상황에서의 집중력
- 시즌 동안 팀 승리와 직결되는 영향력
때문에 세이브는 팬들에게도 의미 있는 지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마치면서
야구 세이브 조건은 승리투수가 될 수 없는 상황에서, 리드를 끝까지 지켜낸 투수에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점수 차, 주자 상황, 투구 이닝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경우를 이해하면 경기를 볼 때 훨씬 재미있어집니다. 야구를 깊게 즐기고 싶은 팬이라면 세이브 규정을 꼭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세이브와 홀드의 차이는 뭔가요?
홀드는 경기 중 리드를 유지한 채 다음 투수에게 넘겨준 기록이고, 세이브는 경기를 끝까지 지켜낸 기록입니다.
선발투수가 완투하면 세이브가 되나요?
아닙니다. 세이브는 승리투수가 아닌 경우에만 성립합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