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지식

야구 파울 플라이 아웃 뜻, 파울팁과의 차이

트라허스포츠 2025. 8. 9. 06:08

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0%

주말에 야구장을 찾아 경기를 보는데, 타자가 친 공이 높이 떠서 파울 지역으로 날아갔습니다. 수비수가 전력으로 달려가 공을 잡아내는 모습을 보며 저도 모르게 탄성을 질렀지요. 그런데 옆에 앉은 친구가 "파울 플라이 아웃이야?"라고 묻더군요. 저는 순간 '파울'과 '아웃'이 함께 쓰이는 이 용어가 조금 헷갈렸습니다. 분명 파울이면 파울이고 아웃이면 아웃이지, 둘이 합쳐지니 어떤 상황인지 명확하게 설명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저처럼 야구 규칙을 헷갈리시는 분들이 꽤 많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파울 플라이 아웃 뜻에 대해 명쾌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야구 파울 플라이 아웃 뜻

파울 플라이 아웃 뜻

파울 플라이 아웃은 간단히 말해 파울 지역으로 뜬 공을 야수가 땅에 떨어지기 전에 잡아서 타자가 아웃되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공이 날아간 곳이 파울 라인 바깥쪽인 파울 지역이어야 합니다. 둘째, 공이 땅에 닿기 전에 야수가 직접 포구해야 합니다. 만약 공이 땅에 한 번이라도 닿았다면 파울이 선언되고, 아웃은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 규칙은 야구의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의외로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부분이라 저도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마음속에 새겼습니다.

 

관련 포스팅:

파울 플라이 공이 벽이나 그물(네트)에 맞고 포구가 된다면 아웃일까?

파울 플라이 볼

파울팁 뜻은 뭔가요?

파울 플라이 아웃과 함께 자주 헷갈리는 용어가 바로 '파울팁'입니다. 파울팁은 타자가 배트를 휘둘렀을 때 공이 배트 끝에 살짝 스쳐 포수에게 곧바로 포구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것은 파울로 선언되지 않고 스트라이크로 처리된다는 점에서 파울 플라이 아웃과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파울 플라이가 잡히면 아웃이 되지만, 파울팁이 나오면 스트라이크 아웃이 됩니다. 이 두 상황을 구분하는 것이 야구 규칙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야구공

파울팁은 왜 파울 플라이 아웃이 아닌 스트라이크일까요?

파울팁은 일반적인 파울과는 달리, 타자의 헛스윙과 유사하게 간주됩니다. 배트 컨트롤을 실패해 공을 제대로 맞히지 못하고 살짝 스친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규칙상 파울팁은 '스트라이크'로 기록되며, 공은 '볼 인 플레이(ball in play)' 상태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파울팁이 나오면 스트라이크아웃이 되지만, 0스트라이크나 1스트라이크 상황에서는 단순히 스트라이크 카운트만 올라갈 뿐 타자는 계속 타석에 남게 됩니다.

이 규칙은 주자에게도 중요한데요, 파울팁은 볼 인 플레이 상태이므로 주자는 태그업할 필요 없이 도루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파울팁은 일반적인 파울처럼 공이 멈추는 '데드볼(dead ball)'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아웃이 아닌 스트라이크로 처리된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야구 규칙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볼파크

마치면서

오늘 파울 플라이 아웃 뜻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파울과 아웃이 동시에 발생하는 이 독특한 규칙은 야구의 공정성과 재미를 더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글을 통해 야구를 더 깊이 이해하고 즐기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저도 이제 경기를 볼 때 '파울 플라이 아웃' 상황이 나오면 옆 사람에게 자신 있게 설명해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스포츠를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규칙을 제대로 아는 것에서 시작되니까요.


파울 플라이 공이 야수 글러브에 맞고 튕겨 나온 것을 다른 야수가 잡았다면 아웃인가요?

네, 아웃입니다. 야수의 몸이나 글러브에 맞고 튕겨 나온 공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다른 야수가 잡으면 아웃으로 인정됩니다.

 

주자 만루 상황에서 파울 플라이가 잡히면 주자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모든 주자들은 각자의 베이스로 돌아가야 합니다. 파울 플라이 아웃이 성립되면 타자만 아웃되고, 주자들은 태그업 플레이를 통해 진루할 수 있습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야구 세이버메트릭스 뜻, 전통 지표와 차이 비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