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요즘 야구 중계를 보면 'FIP'이라는 단어를 심심치 않게 듣게 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게 무슨 뜻인지 몰라 검색해 봤던 기억이 나는데요. 보통 투수 성적하면 방어율(ERA)을 떠올리지만, 야구 전문가나 팬들 사이에서는 FIP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 FIP의 뜻과 왜 방어율보다 더 과학적인 지표로 평가받는지 쉽게 풀어볼까 합니다.
야구 FIP 뜻: '수비 무관 방어율'
FIP는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의 약자입니다. 직역하면 '수비 무관 투구' 정도가 되는데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투수의 실점에 수비수의 영향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투수 본인의 능력만으로 평가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투수가 던진 공은 야수들의 수비 결과에 따라 실점 여부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타자가 땅볼을 쳤는데 야수가 실책을 하면 투수는 실점하지 않았을 공인데도 점수를 내주게 되는 것이죠. 반대로 야수가 호수비를 펼쳐 투수가 실점할 뻔한 상황을 막아주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들을 방어율(ERA)은 그대로 반영합니다. 하지만 FIP는 투수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결과, 즉 홈런, 삼진, 볼넷, 몸에 맞는 공만으로 계산해서 투수를 평가합니다. 땅볼이나 뜬공처럼 수비의 영향을 받는 타구 결과는 계산에서 제외하는 것이죠. 그래서 FIP 뜻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수비수의 영향을 배제한 투수 방어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FIP가 방어율(ERA)보다 더 중요할까?
FIP가 야구 전문가들 사이에서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바로 투수의 미래 성적을 예측하는 데 더 정확하기 때문입니다. 방어율(ERA)은 운이나 팀 수비에 따라 들쭉날쭉할 수 있지만, FIP는 투수 본연의 능력만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훨씬 신뢰도가 높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투수의 방어율은 4.00인데 FIP는 3.00이라면, 이 투수는 수비의 도움을 받지 못했거나 운이 따르지 않아 실제 능력보다 높은 방어율을 기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그의 방어율이 FIP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할 수 있는 것이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FIP는 어떻게 계산할까?
FIP 계산식은 복잡하게 보일 수 있지만, 핵심은 결국 홈런, 삼진, 볼넷, 몸에 맞는 공만으로 계산한다는 점입니다.
FIP = (13 * 홈런 + 3 * (볼넷 + 몸에 맞는 공) - 2 * 삼진) / 투구 이닝 + FIP 상수
여기서 'FIP 상수'는 리그 평균 FIP에 맞춰주는 값입니다. 복잡한 계산식은 사실 중요하지 않습니다. 투수가 FIP를 낮추기 위해서는 홈런은 줄이고, 삼진은 늘리고, 볼넷은 줄여야 한다는 점만 기억하면 됩니다. 이 세 가지 지표야말로 투수 본인의 실력이 가장 크게 반영되는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마치면서
이제 야구 중계를 보다가 FIP 뜻이 궁금할 일은 없겠죠? FIP를 알고 나면 투수의 진짜 실력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단순히 방어율만 보는 것이 아니라, FIP 수치까지 함께 본다면 여러분의 야구 지식이 한층 더 깊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FIP가 낮은 투수는 무조건 좋은 투수인가요?
FIP와 ERA 중 어떤 지표가 더 중요한가요?
함께하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