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야구를 보면서 “2루에서 3루까지 얼마나 될까?”
이런 궁금증을 한 번쯤 가지신 적 있으실 겁니다.
타자가 안타를 치고 2루 주자가 빠르게 달릴 때,
그 거리와 순간 판단은 경기의 승부를 바꾸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오늘은 2루에서 3루 거리가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그 거리 안에서 벌어지는 경기의 물리적·전략적 의미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야구장의 기본 베이스 거리
야구장의 베이스 간 거리는 국제 규격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 베이스 간 거리: 27.43미터 (90피트)
- 홈에서 2루까지 대각선 거리: 약 38.79미터 (127피트 3⅜인치)
즉, 1루와 2루, 2루와 3루, 3루와 홈플레이트 모두 27.43미터로 동일한 정사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2루에서 3루 거리도 정확히 27.43미터입니다.
하지만, 실제 경기에서 주자가 이동하는 경로는 단순한 직선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주루 거리는 약간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 주자의 이동 거리
주자는 베이스를 밟으며 호(弧) 형태로 달립니다.
이동 경로가 약간 곡선을 이루기 때문에
실제 이동 거리는 약 28~29미터 정도로 계산됩니다.
특히 2루에서 3루로 향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거리를 체감상 다르게 만듭니다.
- 주루 각도: 직선으로 달리면 빠르지만, 베이스를 밟기 위해 곡선을 그려야 함
- 리드폭: 2루에서 리드를 크게 하면 3루까지의 남은 거리가 짧아짐
- 슬라이딩 진입: 3루에 접근하며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실시간 주행 거리 차이 발생
즉, 수치상으로는 같아도 실제 주루 감각은 1루-2루보다 2루-3루가 조금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2루에서 3루,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유
야구에서 2루 주자가 3루로 진루하는 것은 득점 확률을 크게 높이는 핵심 플레이입니다.
3루 주자는 단 한 번의 외야 플라이로도 득점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2루 주자가 3루로 뛰는 주요 상황입니다.
- 번트 플레이: 희생번트로 주자를 3루로 보내기
- 도루 시도: 투수와 포수의 타이밍을 역이용해 3루 도루
- 타격 시 판단: 타구 방향이 우측일 경우, 타이밍을 맞춰 적극적인 주루
특히 도루 성공률은 포수의 송구 거리와 시간, 주자의 반응 속도, 그리고 단 27.43미터의 거리에서 승부가 갈립니다.
어린이·사회인 야구 규격은 다를까?
프로야구 규격이 아닌 리틀야구나 사회인 야구는 구장 크기에 따라 베이스 간 거리가 다릅니다.
| 구분 | 베이스 간 거리 | 2루~3루 거리 | 비고 |
| 프로야구 (KBO, MLB) | 27.43m | 27.43m | 국제 규격 |
| 사회인 야구 (성인용) | 약 25.0m | 약 25.0m | 구장 여건에 따라 다름 |
| 리틀야구 | 약 18.3m | 약 18.3m | 어린이 안전 기준 |
이처럼 경기 레벨에 따라 베이스 간 거리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2루에서 3루 거리’도 자연스럽게 달라집니다.

마치면서
정확히 말하자면, 2루에서 3루까지의 공식 거리는 27.43미터입니다.
하지만 실제 경기에서는 주자의 리드폭, 주루 동선,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체감 거리는 약간 더 길거나 짧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짧은 27미터 남짓의 거리 안에서,
야구의 스피드·판단·기술이 모두 집약되어 있다는 사실은 참 흥미롭습니다.
다음에 경기를 보실 때, 2루 주자의 발 한 걸음 한 걸음을 더 주의 깊게 지켜보시면
야구가 훨씬 입체적으로 느껴지실 것입니다.

질문1실제 주루 시 거리는 더 길어지나요?
홈에서 2루까지의 대각선 거리는요?
함께하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