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경기를 보다 보면 가끔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 1루 주자가 2루로 뛰다가, 2루수가 던진 송구에 몸을 맞는 상황 말입니다. 그때마다 "아웃인가?", "아웃이 아닌가?"하고 헷갈리셨던 경험, 다들 한 번쯤 보신 적 있으실 것 같습니다. 야구 규칙이 워낙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가 있다 보니, 저도 처음에는 참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이 상황은 몇 가지 핵심적인 기준만으로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자가 송구에 맞으면 어떻게 되는지,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주자가 송구에 맞으면, 일단 '볼 인 플레이'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규칙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만약 주자가 정상적인 주루를 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야수의 송구에 맞았다면, 이것은 수비 방해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볼 인 플레이' 상태로 경기는 계속 진행됩니다.
그러니 주자는 송구에 맞더라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진루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수비수는 맞고 굴러가는 공을 다시 잡아서 주자를 아웃시키려 하면 됩니다. 이 규칙은 타자가 친 공이 아니라, 수비수가 던진 공에 맞았을 때 적용되는 원칙입니다.
고의적인 방해일 경우, 주자 아웃!
앞서 말씀드린 규칙에는 중요한 예외가 있습니다. 만약 심판이 주자가 고의로 송구를 방해했다고 판단하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고의성이 인정되면 해당 주자는 즉시 아웃됩니다.
'고의성'을 판단하는 것은 전적으로 심판의 재량에 달려있기 때문에 때로는 논쟁의 여지가 있기도 합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행동들이 고의적인 방해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 주자가 송구의 경로를 보고 갑자기 멈추거나, 경로를 막기 위해 몸을 움직이는 행위
- 정상적인 주루선에서 벗어나 송구에 맞는 행위
- 이미 아웃된 주자가 송구를 방해하는 행위
이러한 행동들은 야수의 플레이를 방해하는 명백한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심판은 주자에게 수비 방해를 선언하고 아웃을 선고할 것입니다.
타구에 맞았을 때와는 전혀 다른 규칙
많은 야구팬들이 헷갈려 하는 것이 바로 송구에 맞는 경우와 타구에 맞는 경우입니다. 두 상황은 전혀 다른 규칙이 적용됩니다.
- 송구에 맞을 경우: 앞서 설명드린 대로, 고의성이 없다면 아웃이 아니고 플레이는 계속됩니다.
- 타구에 맞을 경우: 타자가 친 페어 타구가 내야수를 통과하기 전에 주자에게 맞으면, 해당 주자는 무조건 아웃됩니다. 이는 수비수가 공을 잡을 기회를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칙입니다. 다만, 이때 타자에게는 안타가 기록되고 1루까지 진루가 허용됩니다.
이렇게 송구와 타구에 맞았을 때의 규칙이 다르다는 점만 잘 알아두셔도, 야구 경기를 훨씬 더 재미있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마치면서
오늘은 주자가 송구에 맞으면 어떻게 되는지, 그 복잡한 규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은 고의성의 유무와 볼 인 플레이 상태라는 것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야구는 상황별로 다양한 규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가끔 헷갈릴 때도 있지만, 이런 미묘한 규칙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가 꽤 쏠쏠합니다. 이 글이 앞으로 야구를 보시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즐거운 야구 관람 되시기를 바랍니다.
투수가 던진 견제구에 주자가 맞아도 아웃인가요?
주자가 베이스 위에 서 있다가 송구에 맞아도 아웃인가요?
함께하면 좋은 글
'야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야구 뜻, 등수 몇위까지 들면 할 수 있을까? (5) | 2025.08.03 |
---|---|
야구 홈보살 뜻 불교 용어 같은 영어+한자어 합성어 (7) | 2025.07.29 |
야구 세이버메트릭스 뜻, 전통 지표와 차이 비교 (6) | 2025.07.27 |
야구 대주자 뜻 그리고 간단한 규칙 및 전력적 고려사항 정리 (2) | 2025.07.26 |
야구 ERA 뜻, 무엇의 약자이고 어떻게 계산될까? (2) | 2025.07.25 |